들른 이 182461685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고장말탐험] 지역 언어 / 이태영

‘지역’(地域)은 ‘일정하게 나눈 범위의 땅’, ‘전체 사회를 특징 따라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이라는 뜻을 지닌다. 그러므로 지역 언어라 하면 ‘어떤 특징 따라 나눈 공간 영역에서 쓰는 언어’를 일컫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행정을 중심으로 지역을 나누고 있어 남쪽의 경우는 서울·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제주 지역으로 굳혀 써 왔다.

사전의 뜻과 다르게 ‘지역’이라는 말을 ‘중앙’과 대립하는 개념으로 잘못 다루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서울’도 하나의 지역에 지나지 않는데도 “지역 발전이 소외되고 있다”는 표현에서는 중앙과 대립하는 ‘지방’을 두고 하는 말로 쓰인다. 고장말(방언)을 ‘지역어’라 부를 때도 본디 개념에서 벗어난 채, ‘지방의 말’로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적잖다. ‘지방’이란 개념에 ‘서울 이외의 지역’이라는 뜻이 있어 ‘지역’과 ‘지방’이란 말을 뒤섞어 쓰면서 생긴 결과라 할 수 있다.

방언학에서는 “방언이란 본디 균질적이던 한 언어가 지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분화되어 생겨난 분화체로서, 특정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음성·음운·문법·어휘의 체계를 가리킨다”고 그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지역의 언어라고 할 때, 그 개념에는 한국어로서 가지는 보편적인 음운·통사·화용 현상, 문체, 어휘, 억양, 리듬, 음의 높낮이와 장단, 속담, 관용 표현은 물론, 고장의 고유한 언어 특성들을 포괄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2006/08/01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48 [말뜻말맛] 말과 글 / 김수업 2006/12/18 한겨레
947 [말들의 풍경] <41> 부르는 말과 가리키는 말 2006/12/12 한국일보
946 [숨은말탐험] 물혹 / 한용운 2006/12/10 한겨레
945 `외래·번역문투, 우리글 뼈대까지 흔든다` 2006/12/06 한겨레
944 [돋보기 졸보기] 9.표준어 다시 보기 : 눈시울 2006/12/04 한국경제
943 [말뜻말맛] 그치다와 마치다 / 김수업 2006/12/04 한겨레
942 [말글찻집] 자리매김? 2006/11/30 한겨레
941 [고장말탐험] 열쇠 / 이태영 2006/11/28 한겨레
940 돋보기 졸보기]`으` 불규칙-불필요한 모음 `우` 개입 2006/11/27 한국경제
939 [고장말탐험] 겨울 / 이태영 2006/11/21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