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62514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새말탐험] 낚시질 / 김한샘

흔히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한다. 엄청난 양의 지식 자원이 넘쳐나는 인터넷 세상의 특성을 생각해 볼 때 적절한 비유라 하겠다.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듯이 인터넷에서도 낚시질이 이뤄진다. 정보를 낚기도 하고 사람을 낚기도 한다. 바다에서 물고기를 낚으면 신나는 일인데, 인터넷에서 ‘낚시질’은 부정적인 의미로만 쓰인다.

“낚였다!”란 한 마디 댓글로 제대로 된 정보를 얻지 못하고 글 올린 사람에게 놀림을 당했음을 토로하는 동시에, 다른 사람들이 ‘낚시글’을 피할 수 있도록 경고를 주기도 한다. 인터넷에서의 ‘낚시질’은 사실과 다르거나 엉뚱한 내용을 글 자체와는 상관이 없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올리는 것을 말한다. 온갖 사은품을 내걸어 손님을 낚던 시대가 지나고 ‘낚시글’로 누리꾼들을 낚는 시대가 되었다. 낚시질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떡밥’이다. 미끼와 함께 떡밥을 던져넣으면 물고기들이 몰려들듯이 인터넷에서 ‘떡밥글’을 올리면 누리꾼들이 너도나도 댓글을 단다.

실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공간이 생기고 그 가상공간에서 머물고 노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일상생활에서 쓰던 말들이 인터넷에서 새로운 뜻의 말로 탈바꿈한다. 마주 보고 이야기하다가 “배꼽 보여요!”란 말을 들으면 옷매무시를 고쳐야 하겠지만 가상공간에서 ‘배꼽이 보인다’는 말은 인터넷에 올린 사진이 안 보이고 ‘?’ 표시만 보인다는 뜻이니, 사진 파일을 다시 올려야 한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2006/08/02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48 [말뜻말맛] 말과 글 / 김수업 2006/12/18 한겨레
947 [말들의 풍경] <41> 부르는 말과 가리키는 말 2006/12/12 한국일보
946 [숨은말탐험] 물혹 / 한용운 2006/12/10 한겨레
945 `외래·번역문투, 우리글 뼈대까지 흔든다` 2006/12/06 한겨레
944 [돋보기 졸보기] 9.표준어 다시 보기 : 눈시울 2006/12/04 한국경제
943 [말뜻말맛] 그치다와 마치다 / 김수업 2006/12/04 한겨레
942 [말글찻집] 자리매김? 2006/11/30 한겨레
941 [고장말탐험] 열쇠 / 이태영 2006/11/28 한겨레
940 돋보기 졸보기]`으` 불규칙-불필요한 모음 `우` 개입 2006/11/27 한국경제
939 [고장말탐험] 겨울 / 이태영 2006/11/21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