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60680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국어이야기]`~시오` `~시요` 올바르게

식당에서 맛있게 식사를 하고 나오다가 다음과 같은 글을 보았습니다. ‘시원한 수정과를 준비했습니다. 드시고 싶은 만큼 떠다가 맛있게 드십시요.’ 무엇인가 잘못된 곳을 발견하였습니까? 그렇습니다. ‘드십시요.’는 올바르지 못하게 적은 것입니다.

 이 글을 바르게 적으면 ‘드십시오.’입니다. 이처럼 ‘-오’와 ‘-요’는 잘못 사용하기 쉬운 말입니다.

 (가) 문을 닫으시요. 들어가지 마시요. 열심히 노력하시요.

 (나) 문을 닫으시오. 들어가지 마시오. 열심히 노력하시오.

 (다) 문을 닫으오. 들어가지 마오. 열심히  노력하오.

 (가)는 모두 잘못 적은 것이며 (나)와 (다)가 바르게 적은 것입니다. ‘-오’는 문장을 끝맺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문을 닫으’라고 하면 말의 끝맺음이 다 이루어지지 않은 것입니다. (다)의 ‘문을 닫으오’와 같이 표현해야 문장이 완전해집니다. 이렇게 ‘-오’는 문장을 완결시켜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다)는 우리가 보통 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지만 바르게 적은 것입니다. 상대방을 높이지 않고 표현한 것입니다. ‘-오’에 ‘시’를 더하여 ‘-시오’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듣는 사람을 높이는 말이 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요’는 언제 사용할까요?

 (라) 같이 가실까요?조용히 하시지요.드시지 요.

 (마) 같이 가실까?조용히 하시지.드시지

 (바) 같이 갈까?조용히 하지.들지.

‘-요’는 ‘-오'처럼 문장을 완결시키는 기능이 없습니다. 즉, (마)와 (바)처럼 ’요‘를 사용하지 않아도 뜻은 이루어집니다. 여기에 -오’를 붙이면 다음 (사)와 같이 오히려 이상하게 됩니다.

 (사) 가실까오. 하시지오. 드시지오.

 식당 주인아저씨께 음식과 수정과를 맛있게 작 먹었다고 인사를 하고 나오면서 ‘드십시요’는 잘못 적었노라고 일러주고 ‘드십시오’라고 고쳐 적으라고 하였습니다. 주인아저씨는 자꾸만 고개를 갸웃갸웃하더니 씩 웃으시면 다음에 고쳐 쓰겠다고 하셨습니다. 다음에도 그냥 그대로 있다면 굵은 펜으로 ‘시요’를 ‘시오’로 고쳐주고 나오리라 생각하면서 식당 문을 닫고 나왔습니다.

2006/08/22 강원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48 [말뜻말맛] 말과 글 / 김수업 2006/12/18 한겨레
947 [말들의 풍경] <41> 부르는 말과 가리키는 말 2006/12/12 한국일보
946 [숨은말탐험] 물혹 / 한용운 2006/12/10 한겨레
945 `외래·번역문투, 우리글 뼈대까지 흔든다` 2006/12/06 한겨레
944 [돋보기 졸보기] 9.표준어 다시 보기 : 눈시울 2006/12/04 한국경제
943 [말뜻말맛] 그치다와 마치다 / 김수업 2006/12/04 한겨레
942 [말글찻집] 자리매김? 2006/11/30 한겨레
941 [고장말탐험] 열쇠 / 이태영 2006/11/28 한겨레
940 돋보기 졸보기]`으` 불규칙-불필요한 모음 `우` 개입 2006/11/27 한국경제
939 [고장말탐험] 겨울 / 이태영 2006/11/21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