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4867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말겨레] 언어 분류 / 권재일

우리말을 세계 여러 언어들과 견줄 때, 흔히 알타이 말겨레에 딸린다기도 하고, 교착어에 든다기도 한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현재 지구상에서 쓰이는 수천 언어들은 똑같은 정도로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언어에 비해 더 비슷하거나 가까운 게 있어, 서로 가까운 것끼리 묶어 볼 수 있다. 말을 분류하는 기준에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바탕을 두는 기준인데, 이를 유형론적 분류라 한다. 다음은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바탕을 두는 것인데, 이를 계통론적 나누기라고 한다.

언어의 유형론적 분류란 언어가 지니는 말소리, 낱말, 문장에 따라 같은 특징을 가진 언어들끼리 묶어서 나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문장을 구성할 때 우리말처럼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놓이는 언어들이 있는가 하면, 영어처럼 목적어가 서술어 뒤에 놓이는 언어들이 있다. 이처럼 부려쓰는 말 차례에 따라서도 세계 여러 언어들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계통론적 분류란 그 언어의 뿌리가 어디에 있으며, 같은 뿌리에서 갈려 나온 언어에는 어떤 언어들이 있는지를 밝혀 나누는 방식이다. 이렇게 나누어 기원이 같은 언어들끼리 묶은 것을 말겨레(어족)라고 하는데, 흔히 알타이어족, 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들이 그 보기다. 그렇다면 우리말은 알타이어족에 드는 언어일까? 그렇다고 알고 있는 이가 적잖은데, 아직은 단정 짓기 어려운 수준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2006/06/01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34 [말겨레] 언어 분류 / 권재일 2006/06/01 한겨레
933 `생갈비` 대신 `맨갈비` 표기가 바람직 2006/06/01 국정브리핑
932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들추다, 들치다 2006/05/30 머니투데이
931 [말뜻말맛] ‘기쁘다’와 ‘즐겁다’ / 김수업 2006/05/29 한겨레
930 [숨은말탐험] 상일꾼·큰머슴 / 한용운 2006/05/28 한겨레
929 [말겨레] 언어의 가짓수 / 권재일 2006/05/25 한겨레
928 순화대상서 문화의 축으로 `사투리 대반란` 2006/05/19 한국일보
927 [말뜻 말맛] 호랑이는 무섭다? 두렵다? 2006/05/15 한겨레
926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오랜만에, 오랫동안 2006/05/09 머니투데이
925 3월 31일 한국어 연습장 2006/03/31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